질환백과
- 정의
-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. 정상적인 방광은 소변이 300~400cc 정도 찰 때까지 방광의 압력이 증가하지 않은 채 풍선처럼 늘어났다가 요의(소변을 보고 싶다는 느낌)가 들면 외요도 괄약근이 열리고 배뇨근이 수축하여 소변을 배출한 뒤 다시 제 모양으로 돌아옵니다. - 저활동성 방광(underactive bladder, UAB)은 배뇨근의 수축력과 수축 기간이 감소하여 방광을 비우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완전히 방광을 비우지 못하는 현상을 포괄합니다. 이는 낮은 요속(약뇨), 요주저, 소변을 보기 위해 힘을 주는 증상, 잔뇨가 많이 남는 증상을 동반합니다. 
- 원인
- 저활동성 방광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, 골반 수술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, 배뇨근에 이상이 있는 경우, 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발생합니다. 고령, 당뇨, 신경 손상 및 신경계 질환이 저활동성 방광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. 
- 증상
- 저활동성 방광의 흔한 증상은 요속 감소, 배뇨 시간 증가, 배뇨 후 잔뇨 증가입니다. 
- 진단
- 저활동성 방광은 환자의 임상 증상과 요역동학 검사를 통해 배뇨근 수축력의 감소를 확인함으로써 진단합니다. 
- 치료
- 저활동성 방광은 시간을 정해 놓고 배뇨하기, 반복하여 배뇨하기 등의 행동 치료와 방광 출구의 압력을 줄이고 방광 수축을 도와주는 알파 차단제와 콜린제 등을 이용한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합니다. - 행동 치료와 약물 치료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지속적으로 잔뇨가 많이 남는다면, 간헐적으로 자가 도뇨를 시행하거나 요도 혹은 치골 상부에 유치 도뇨관을 삽입합니다.   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












